Solving Auth and Billing Pain Points in One API Call
Discover how a unified API call can seamlessly handle authentication and billing, improving user experience and simplifying backend management in SaaS applications.
Shelled AI (Global)
© 2025 Shelled Nuts Blog. All rights reserved.
Capture your moments quietly and securely
Discover how a unified API call can seamlessly handle authentication and billing, improving user experience and simplifying backend management in SaaS applications.
Shelled AI (Global)
Discover practical automation techniques for certificate issuance and renewal to ensure seamless security and avoid service downtime.
Shelled AI (Global)
Discover how prompt evaluation and iteration enhance AI code generation accuracy for coding tasks with practical tips and best practices.
Shelled AI (Global)
// highlight-next-line
# LocalStorage, SessionStorage, Cookies: 웹 클라이언트 저장소 완전 정복
혹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가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해야 할까?”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저 역시 처음에는 LocalStorage, SessionStorage, 그리고 Cookies가 서로 비슷해 보여서 “아무 데나 저장해도 되겠지”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어요. 그런데 막상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왜 내 데이터가 사라졌지?”, “브라우저마다 동작이 다른데?” 같은 문제가 계속해서 터지더라고요. 실제로 겪어보니, 이 세 가지 저장소는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내부에는 우리가 놓치기 쉬운 결정적인 차이점들이 숨어 있었습니다.
이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사용자 로그인 상태가 예고 없이 풀리거나, 중요한 설정이 사라지는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어요. 그리고 그 책임은 결국 개발자에게 돌아오죠. 얼마 전 한 동료가 “왜 내 앱에서는 세션이 유지가 안 되지?”라며 당황하는 모습을 봤는데, 원인은 의외로 단순한 ‘저장소 선택’ 실수였어요. 그때 확실히 깨달았습니다.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저장소의 진짜 차이와, 이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요.
이 글에서는
- LocalStorage, SessionStorage, Cookies의 구체적인 특징과 차이점
- 각각의 수명, 접근성, 보안, 실제 사용 사례
- 그리고 언제,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
정확하고 쉽게 설명드릴게요.
혹시 “내가 올바른 저장 방식을 쓰고 있나?” 고민한 적 있으셨다면, 이 글을 통해 클라이언트 측 데이터 저장의 핵심 원리와 실전 팁을 확실히 얻어가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웹 저장소의 숨겨진 비밀을 하나씩 파헤쳐볼까요?
---
## 목차
1. [웹 저장소 옵션 한눈에 보기](#웹-저장소-옵션-한눈에-보기)
2. [LocalStorage: 영구적이고 도메인별 저장소](#localstorage-영구적이고-도메인별-저장소)
3. [SessionStorage: 탭별 임시 저장소](#sessionstorage-탭별-임시-저장소)
4. [Cookies: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연결고리](#cookies-서버와-클라이언트의-연결고리)
5. [보안 고려사항과 취약점](#보안-고려사항과-취약점)
6. [성능과 브라우저 호환성](#성능과-브라우저-호환성)
7. [상황별 저장소 선택 가이드](#상황별-저장소-선택-가이드)
8. [결론 및 실전 베스트 프랙티스](#결론-및-실전-베스트-프랙티스)
---
## 웹 저장소 옵션 한눈에 보기
웹 개발에서 클라이언트 측 데이터 저장은 필수죠. 브라우저는 대표적으로 세 가지 방법을 제공합니다: LocalStorage, SessionStorage, 그리고 Cookies.
각각의 저장소는 분명한 장단점과 용도가 있어요. 실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이걸 어디에 저장해야 할까?” 고민하게 되는데요.
한 번에 정리해 볼게요.
- **LocalStorage**: 브라우저를 닫아도 남아 있는, 도메인별 영구 저장소.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다크모드 선호 설정을 저장하면, 다음 방문 때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 **SessionStorage**: 탭이나 창을 닫으면 사라지는 임시 저장소.
다단계 폼 입력값 임시 저장, 일회성 UI 상태 관리에 딱 좋아요.
- **Cookies**: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모두 접근할 수 있고, 매 HTTP 요청마다 자동으로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저장소.
주로 인증, 세션 유지, CSRF 방지 등에 사용됩니다.
처음엔 이 세 가지가 헷갈릴 수 있지만, 실제로 써보면 “아, 이럴 때는 이걸 써야겠구나!” 감이 잡혀요.
### 💡 실전 팁
- 민감한 정보(비밀번호, 인증 토큰)는 LocalStorage나 SessionStorage에 저장하지 마세요. XSS에 취약합니다.
- SessionStorage는 탭/창을 닫으면 자동으로 지워져서, 임시 데이터 관리에 유용해요.
- 쿠키는 용량이 작고(약 4KB), 매 요청마다 서버로 전송되니, 꼭 필요한 최소 정보만 담으세요.
---
## LocalStorage: 영구적이고 도메인별 저장소
LocalStorage는 Web Storage API의 일부로, 브라우저에 key-value 쌍을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해줍니다.
놀랍게도, 브라우저를 완전히 닫았다가 다시 열어도 데이터가 그대로 남아 있어요.
실제로 해보니, 사용자의 테마 설정이나 장바구니 상태, 간단한 앱 설정 저장에 정말 편리하더라고요.
### 특징
- **수명**: 브라우저/컴퓨터를 껐다 켜도 남아 있음.
- **용량**: 도메인별로 약 5~10MB(브라우저마다 다름).
- **접근성**: 같은 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에서만 접근 가능.
- **API**: `setItem`, `getItem`, `removeItem`, `clear` 등 간단하고 동기적.
```js
// highlight-next-line
// 다크모드 설정 저장
localStorage.setItem('theme', 'dark');
// 불러오기
const theme = localStorage.getItem('theme');
// 삭제
localStorage.removeItem('theme');
처음엔 대용량 데이터를 LocalStorage에 막 넣었다가, UI가 버벅거리는 걸 경험했어요.
동기적 API라서, 큰 데이터를 저장/읽기하면 메인 스레드가 멈출 수 있습니다.
그래서 LocalStorage는 빠른 접근이 필요한 소규모 데이터에만 쓰는 게 좋아요.
대용량 데이터라면 IndexedDB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점!
LocalStorage에는 절대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지 마세요.
자바스크립트로 접근 가능해서, XSS 공격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SessionStorage는 LocalStorage와 API는 거의 같지만, 수명이 완전히 달라요.
각 탭(또는 창)마다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탭을 닫으면 데이터가 사라집니다.
처음엔 “왜 탭마다 저장소가 따로 있지?” 싶었는데, 실제로 써보니 멀티탭 환경에서 독립적인 작업이 필요할 때 정말 유용하더라고요.
// highlight-next-line
// 다단계 폼 임시 저장
sessionStorage.setItem('signup-step1', JSON.stringify({ name: 'Alice', email: 'alice@example.com' }));
// 불러오기
const step1Data = JSON.parse(sessionStorage.getItem('signup-step1'));
// 삭제
sessionStorage.removeItem('signup-step1');
sessionStorage.clear();
실제로 해보니, 여러 탭에서 각각 다른 작업을 할 때 데이터가 섞이지 않아 정말 편리했어요.
다만, SessionStorage도 자바스크립트로 접근 가능하니, 민감한 정보 저장은 피하세요.
쿠키는 웹의 오랜 친구죠.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모두 접근할 수 있고, 매 HTTP 요청마다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됩니다.
이 덕분에 인증, 세션 유지, CSRF 방지 등 서버와의 상태 관리에 필수적이에요.
HttpOnly
설정 시 자바스크립트 접근 불가).// highlight-next-line
// 로그인 시 쿠키 설정
res.cookie('sessionId', 'abc123', {
maxAge: 3600000, // 1시간
httpOnly: true, // JS에서 접근 불가
secure: true // HTTPS에서만 전송
});
// highlight-next-line
const sessionId = req.cookies.sessionId;
// 세션 데이터 조회...
실제로 처음엔 쿠키에 너무 많은 데이터를 넣었다가, 네트워크가 느려지고 경고 메시지가 뜨는 걸 경험했어요.
쿠키는 꼭 필요한 최소 정보(세션 토큰, CSRF 토큰 등)만 담아야 합니다.
그리고 HttpOnly
, Secure
같은 보안 플래그를 반드시 설정하세요.
이 플래그 덕분에 XSS, 네트워크 스니핑 등 다양한 공격을 막을 수 있습니다.
HttpOnly
, Secure
, SameSite
플래그를 꼭 설정해 보안을 강화하세요.웹 저장소를 쓸 때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바로 보안이에요.
처음엔 “클라이언트 저장소니까 괜찮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XSS 공격에 노출되면 LocalStorage, SessionStorage의 모든 데이터가 털릴 수 있습니다.
HttpOnly
, Secure
)를 설정하지 않으면, 자바스크립트로 접근하거나 네트워크에서 탈취당할 수 있습니다.HttpOnly
(자바스크립트 접근 차단), Secure
(HTTPS에서만 전송), SameSite
(크로스 사이트 요청 차단) 플래그를 꼭 설정하세요.실제로 해보니, 작은 방심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더라고요.
보안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HttpOnly
, Secure
, SameSite
플래그를 적용하세요.웹 저장소를 쓸 때, 성능과 호환성도 무시할 수 없죠.
실제로 여러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해보면, 저장 용량, 동작 방식, 정책이 미묘하게 다릅니다.
실제로 여러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동작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꼭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해보세요!
“이럴 땐 뭘 써야 하지?” 실제 상황별로 정리해볼게요.
// highlight-next-line
localStorage.setItem('theme', 'dark');
const theme = localStorage.getItem('theme');
// highlight-next-line
sessionStorage.setItem('formDraft', JSON.stringify({name: 'Alice', email: 'alice@example.com'}));
const draft = JSON.parse(sessionStorage.getItem('formDraft'));
// highlight-next-line
Set-Cookie: sessionId=abc123; HttpOnly; Secure; SameSite=Strict
이렇게 상황별로 저장소를 조합하면, 보안과 편의성을 모두 챙길 수 있어요.
HttpOnly
, Secure
적용)에만 저장하세요.LocalStorage, SessionStorage, Cookies—이 세 가지 저장소의 미묘하지만 결정적인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면, 웹 개발의 품질이 한 단계 올라갑니다.
각 저장소는 수명, 접근성, 보안, 성능에서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이럴 땐 이걸 쓴다!”는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보안과 성능을 항상 염두에 두세요.
실제로 프로젝트를 점검해보면, 저장소 선택이 앱의 성능과 보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걸 체감하게 됩니다.
혹시 지금 개발 중인 서비스에서, 불필요하게 쿠키에 데이터를 넣고 있진 않으신가요?
SessionStorage에 남아 있는 민감 정보는 없는지, LocalStorage에 쌓인 오래된 데이터는 없는지 한 번쯤 점검해보세요.
웹 저장소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과 보안의 핵심입니다.
항상 최신 브라우저 정책과 보안 이슈를 체크하고, 저장소 전략을 코드 리뷰의 필수 항목으로 삼아보세요.
마지막으로, 실험과 학습을 멈추지 마세요.
웹 저장소를 제대로 활용하면, 더 빠르고 안전한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