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pe가 개발자 경험에 성공한 비밀과 Kinde가 바꾸는 미래
Stripe의 혁신적인 개발자 경험과 Kinde가 이끄는 인증 시스템의 미래를 살펴보고, 개발자 친화적 솔루션 도입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Shelled AI (한국)
© 2025 Shelled Nuts Blog. All rights reserved.
Capture your moments quietly and securely
Stripe의 혁신적인 개발자 경험과 Kinde가 이끄는 인증 시스템의 미래를 살펴보고, 개발자 친화적 솔루션 도입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Shelled AI (한국)
복잡한 환경에서 에이전트 협업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해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의 실제 적용과 사례를 단계별로 체험해보세요.
Shelled AI (한국)
한 번의 API 호출로 인증과 결제를 동시에 처리하는 비밀 패턴을 소개합니다. 개발 효율과 보안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최신 웹 개발 팁!
Shelled AI (한국)
PostgreSQL은 강력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로 널리 사용되지만, 잘못된 쿼리 작성이나 인덱스 설계, 데이터 모델링 실수로 인해 성능이 치명적으로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Reddit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Postgres를 42,000배 느리게 만드는 방법’ 사례처럼, 단순한 실수가 대규모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죠. 이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Postgres 성능 저하 원인과, 실전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최적화 방안, 주요 트러블슈팅 방법까지 한국 웹 개발 환경에 맞춰 자세히 소개합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PostgreSQL을 선택하는 이유는 확장성과 신뢰성, 그리고 뛰어난 성능입니다. 하지만 Reddit/r/programming에 소개된 "Making Postgres 42,000x slower because I am unemployed" 사례처럼, 단 하나의 부주의한 쿼리나 인덱스 실수로도 성능이 상상을 초월하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사례 요약:
한 개발자가 단순히 쿼리 작성 방식을 잘못 선택한 결과, 동일 데이터셋에서 쿼리 성능이 42,000배나 느려졌습니다. 이는 아래와 같이 WHERE절에 서브쿼리와 IN절을 잘못 사용하는 등의 실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성능 저하를 유발한 잘못된 쿼리 예시
SELECT * FROM users WHERE id IN (SELECT id FROM users WHERE active = true);
문제점:
많은 국내 스타트업에서는 유저 데이터를 조회할 때 복잡한 서브쿼리를 즐겨 사용합니다. 하지만 데이터량이 많아질수록, 그리고 인덱스가 적절히 설계되지 않았다면, 이러한 쿼리는 서비스의 전체 응답속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ostgreSQL에서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잘못된 예: WHERE IN 서브쿼리 사용
SELECT * FROM orders WHERE user_id IN (SELECT id FROM users WHERE active = true);
-- 권장 예: INNER JOIN 사용
SELECT orders.*
FROM orders
INNER JOIN users ON orders.user_id = users.id
WHERE users.active = true;
설명:
JOIN을 사용할 경우 PostgreSQL 옵티마이저가 인덱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인덱스가 없는 상태
CREATE TABLE orders (
id SERIAL PRIMARY KEY,
user_id INTEGER,
created_at TIMESTAMP
);
-- 인덱스 추가 (권장)
CREATE INDEX idx_orders_user_id ON orders(user_id);
베스트 프랙티스:
국내 쇼핑몰의 주문/회원 테이블 연동에서, JOIN 대신 WHERE IN 서브쿼리를 사용해 성능 병목이 발생한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특히 실시간 주문 집계와 같이 트래픽이 많은 환경일수록 JOIN 및 인덱스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PostgreSQL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반드시 실천해야 할 최적화 방법을 정리합니다.
-- EXISTS를 활용한 최적화
SELECT *
FROM orders o
WHERE EXISTS (
SELECT 1
FROM users u
WHERE u.id = o.user_id
AND u.active = true
);
-- 복합 인덱스 예시
CREATE INDEX idx_orders_user_created
ON orders(user_id, created_at);
주의:
인덱스는 무분별하게 생성하지 말 것!
데이터 변경(INSERT/UPDATE/DELETE) 시 인덱스도 함께 갱신되어 오버헤드 발생
EXPLAIN
또는 EXPLAIN ANALYZE
로 쿼리 플랜 확인EXPLAIN ANALYZE
SELECT * FROM orders WHERE user_id = 123;
-- 예: user_id가 INTEGER인데, WHERE user_id = '123' (문자열)로 비교하면 인덱스 미사용
-- OFFSET 대신 커서 방식 사용 예
SELECT * FROM orders WHERE id > 1000 ORDER BY id LIMIT 100;
기능/특징 | PostgreSQL | MySQL | Oracle |
---|---|---|---|
서브쿼리 최적화 | JOIN, EXISTS 권장, 서브쿼리 느림 | JOIN 권장, 서브쿼리 속도 개선됨 | Oracle Optimizer 우수 |
인덱스 최적화 | 다양한 인덱스 지원 | B-Tree 위주 | Bitmap/Function Index |
데이터 타입 유연성 | 풍부함 | 비교적 제한적 | 강력 |
실행계획(Explain) | 상세, 직관적 | 간단, 직관적 | 매우 상세 |
커서 기반 페이지네이션 | Seek Method 권장 | LIMIT/OFFSET 위주 | ROWNUM/LAG 가능 |
비교 해설:
MySQL은 최근 서브쿼리 성능이 개선되고 있지만, 대용량 데이터에서는 PostgreSQL의 JOIN과 인덱스 최적화가 더 효과적입니다. Oracle은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강력한 옵티마이저와 인덱스 전략을 지원하지만, 비용 부담이 크고, Postgres는 오픈소스로서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SELECT *
FROM orders
WHERE user_id IN (SELECT id FROM users WHERE active = true);
SELECT o.*
FROM orders o
INNER JOIN users u ON o.user_id = u.id
WHERE u.active = true;
CREATE INDEX idx_users_active ON users(active);
CREATE INDEX idx_orders_user_id ON orders(user_id);
-- 기존: OFFSET 사용
SELECT * FROM orders ORDER BY id LIMIT 20 OFFSET 1000;
-- 최적화: 커서 방식
SELECT * FROM orders WHERE id > 1000 ORDER BY id LIMIT 20;
실제 효과:
PostgreSQL에서 느린 쿼리가 발생했을 때, 체계적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EXPLAIN (ANALYZE, BUFFERS)
SELECT * FROM orders WHERE user_id = 123;
-- 인덱스 정보 조회
\d orders
ANALYZE orders;
PostgreSQL 성능은 쿼리 작성 방법, 인덱스 설계, 데이터 모델링 등 기본기에서 크게 좌우됩니다.
Reddit에서 화제가 된 사례처럼, 단 한 줄의 부주의한 쿼리로도 서비스 전체가 멈출 수 있습니다.
한국 웹 개발 환경에서는 실시간 트래픽, 대량 사용자 기반에서 성능 최적화가 더 중요합니다.
다음 단계 제안:
실행 가능한 코드, 실제 사례, 성능 벤치마크까지 꼼꼼히 따라하며 여러분의 PostgreSQL 서비스 성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