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y-camera stealth-camera hidden-camera ninja-camera blackbox-camera
© 2025 Shelled Nuts Blog. All rights reserved.
Capture your moments quietly and securely
Learn discreet, professional methods to capture company dinners and client entertainment—preserve receipts, seating, and moments for expenses and follow-up without disrupting the occasion.
Shelled AI (Global)
Discover how llama.cpp enables fast, efficient LLM inference on CPUs without GPUs, unlocking powerful local AI with optimization and security benefits.
Shelled AI (Global)
Learn how to set up and configure a VPN server using OpenVPN or WireGuard in a practical lab environment with step-by-step guidance for beginners.
Shelled AI (Global)
Hey, welcome back! 지난번 포스트 “Learn prompt engineering techniques specific to coding AI” 어떠셨나요? 댓글에 Fine-Tuning Language Models for Domain-Specific Code Generation(필요 지식: Prompt engineering fundamentals, Machine learning basics, Familiarity with PyTorch or TensorFlow) 관련 질문이 정말 많았어요. 그래서 오늘은 이 주제를 제대로 파헤쳐보려고 합니다.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범용 AI 모델이 코드를 뱉어내긴 하는데, 우리 회사만의 미묘한 규칙이나 라이브러리, 혹은 도메인 특유의 스타일을 제대로 못 따라가서 답답했던 적. 저도 처음에 Django ORM 쿼리를 LLM에 시켜봤는데, 문법은 얼추 맞는데 진짜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더라고요. 그때 깨달았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걸요. 실제로 금융 모델링(R), IoT용 임베디드 C, 특정 웹 프레임워크 등 정말 특화된 영역에서 제대로 된 코드 생성이 필요하다면, 모델에게 “우리 세계”의 진짜 룰을 가르쳐야 해요.
이게 바로 오늘 주제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도메인 특화 코드 생성용 LLM 파인튜닝은 지금 가장 뜨거운 분야 중 하나예요. 제대로 파인튜닝된 AI 코딩 어시스턴트는 여러분의 환경, 비즈니스 로직, 워크플로우까지 “진짜로” 이해합니다. 상상해보세요. AI 페어 프로그래머가 우리 팀만의 언어로 대화하고, 생산성과 코드 품질이 쑥쑥 올라가는 모습!
오늘 포스트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머신러닝 엔지니어든, “우리 회사 코드베이스를 AI가 좀 알아듣게 하고 싶다!”는 개발자든, 오늘 읽고 나면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전 노하우를 얻어가실 수 있을 거예요. 완벽하게 할 필요 없어요. 우리 모두 시행착오 겪으면서 배우는 거니까요.
이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넘어, 도메인 특화 코드 생성의 진짜 힘을 열어볼 준비 되셨나요? 그럼 시작합니다!
솔직히, GPT, Codex 같은 대형 LLM이 코드 생성 판을 완전히 바꿔놨죠. 저도 처음에 GPT-3가 파이썬 함수 뚝딱 만들어내는 거 보고 “이게 진짜 AI인가?” 싶었어요. 그런데, 마법은 오래가지 않더라고요. 예를 들어, 핀테크 앱의 커스텀 알고리즘이나 IoT 디바이스용 드라이버처럼 특화된 코드를 시키면, 뭔가 그럴듯하지만 실제론 쓸 수 없는 코드가 나올 때가 많아요.
왜 그럴까요? 범용 LLM은 엄청나게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해서 “얕고 넓게” 압니다. 그래서 SAP ABAP의 미묘한 API나 일본 이커머스 플랫폼의 특수 규칙 같은 건 잘 몰라요. 저도 의료 데이터 파이프라인 코드를 생성시켰다가, 중요한 컴플라이언스 체크가 쏙 빠진 걸 보고 당황했던 기억이 있네요. “모델이 왜 이걸 모르지?” 싶었지만, 실제로 그런 코드를 충분히 본 적이 없으니 당연한 거였죠.
여러분도 이런 경험 있으시죠? “맞는 것 같지만 쓸모없는”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혹은 아예 존재하지 않는 함수 추천…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입니다. 방법은 두 가지: 파인튜닝(모델을 실제 도메인 코드로 재학습)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프롬프트를 똑똑하게 짜서 원하는 결과 유도). 예를 들어, 금융 쪽은 실제 트레이딩 알고리즘 코드로 파인튜닝하면 시장 데이터 구조를 더 잘 이해하게 만들 수 있어요. 반면, 파인튜닝이 어렵다면 프롬프트에 구체적 예시를 넣어서 결과를 개선할 수도 있죠.
잠깐 정리! 범용 LLM은 훌륭한 출발점이지만, 진짜 생산성을 내려면 파인튜닝이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필수입니다. 이제 실제로 어떻게 하는지, 하나씩 살펴볼까요?
파인튜닝 얘기 전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왜 코드 생성에서 “비장의 무기”인지부터 짚고 갈게요. 모델이 엉뚱한 코드를 내놓으면 “이게 뭐야?” 싶었던 적 있으시죠? 저도 처음엔 GPT-3한테 파이썬 코드 시켰다가, 결과 보고 한참 웃었어요. 하지만 프롬프트를 조금만 똑똑하게 바꾸면, 결과가 확 달라집니다.
쉽게 말해, LLM에게 “내가 원하는 걸 정확히” 말하는 기술이에요. 코드 생성에서는 더더욱 중요하죠. 자연어는 대충 말해도 통하지만, 코드는 한 글자만 틀려도 에러가 나니까요. 애매하게 시키면, 그럴듯하지만 쓸모없는 코드가 나올 확률 99%!
Prompt:
# Write a Python function that returns the nth Fibonacci number using recursion. def fibonacci(n):
처음엔 “피보나치 함수 만들어줘”라고만 했더니, 자바스크립트로 주거나 아예 수학 설명만 해주는 경우도 있었어요. 언어, 스타일(재귀/반복 등)까지 명확히 써주면 결과가 훨씬 좋아집니다.
도메인 특화 SQL 쿼리 예시:
Prompt:
-- Table: users (id INT, name VARCHAR, created_at DATE) -- Write a SQL query to find all users created in 2023.
테이블 스키마를 안 넣었더니, 모델이 없는 컬럼까지 막 만들어내더라고요. 여러분도 이런 적 있죠? 사실을 명확히 깔아주는 게 핵심입니다.
Prompt:
def is_palindrome(s): """ Returns True if the string s is a palindrome, False otherwise. Ignores case and spaces. """
Docstring을 넣으니, 함수가 훨씬 정확하게 나왔어요. 의외로 이런 작은 차이가 큽니다.
아무리 프롬프트를 잘 짜도, 모델이 아예 모르는 도메인(예: R로 금융 리스크 모델링, 특수 라이브러리 등)은 한계가 있어요. 저도 “이 정도면 되겠지?” 했다가, 실행조차 안 되는 코드가 나온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정리: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모델이 이미 아는 범위 내에서 “최적화”
- 파인튜닝: 모델에게 “새로운 지식”을 가르침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시작점이에요. 간단한 작업엔 이걸로 충분할 때도 많죠. 하지만 진짜 도메인 특화, 신뢰할 수 있는 코드가 필요하다면 파인튜닝과 병행하는 게 정답입니다. 저도 매일 새로운 프롬프트 실험 중이니, 여러분도 겁내지 말고 계속 시도해보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머신러닝 기초로 넘어가 볼게요. 파인튜닝 하다 보면 “왜 내 모델은 자꾸 반복만 하지?” 같은 고민, 다들 해보셨죠? 저도 구글링만 몇 시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같이 하나씩 풀어봅시다.
파인튜닝은 결국 “지도학습”이에요. 즉, 입력(프롬프트)과 정답(코드)을 쌍으로 만들어서 모델에게 학습시키는 거죠. 여기서 데이터셋 품질이 정말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 법률 문서 생성 모델을 만들고 싶은데, 미국 계약서 예시만 넣으면? 모델이 미국 법률만 줄줄 읊어요. 저도 이 실수로 한참 헤맸죠.
실전 팁: 다양한 예시를 넣고, 진짜 “내가 원하는” 도메인에 맞는 데이터만 골라 쓰세요.
모델이 학습 데이터는 잘 맞추는데, 새로운 예시엔 맥을 못 추는 경우? 바로 오버피팅입니다. 저도 처음엔 “잘 되네!” 했다가, 실제 테스트에서 완전 망한 적 있어요.
해결법: 검증셋(validation set)으로 성능을 계속 체크하고, early stopping, dropout, weight decay 같은 기법을 써보세요.
여기서부터 약간 기술적인 얘기!
처음엔 loss가 안 내려가서 멘붕이었는데, learning rate, batch size만 조금 바꿔도 확 달라집니다.
팁: learning rate는 작게(예: 5e-5), batch size는 GPU 메모리에 맞게. 너무 크면 바로 뻗어요.
모델이 크면 성능은 좋지만, 학습 시간과 리소스가 어마어마합니다. 저도 욕심내서 큰 모델 돌렸다가 노트북 팬이 미친 듯이 돌았던 기억이… (그리고 결국 중단)
실전 팁: 작은 모델부터 시작하거나, adapter layer 등 부분 파인튜닝을 고려하세요. 리소스가 부족하다면 이게 훨씬 현실적입니다.
잠깐 숨 좀 돌리고, 정리해볼게요.
지도학습, 데이터셋 품질, 오버피팅 방지, 트레이닝 루프 이해, 모델 크기와 리소스 밸런스—이게 핵심입니다. 저도 실수 많이 했으니, 여러분은 조금 더 수월하게 가시길!
이제 진짜 중요한 단계!
파인튜닝의 90%는 “데이터셋 준비”에서 결정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저도 이거 하다가 3시간 날린 적 많습니다…
처음엔 복붙한 코드 그대로 썼다가, 모델이 이상한 들여쓰기와 중복 코드만 내놓더라고요.
실전 팁:
적은 양이라도 “정제된” 데이터가 훨씬 효과적입니다.
stratified sampling으로 다양한 케이스 커버, 오버피팅 방지.
저는 validation loss와 early stopping을 꼭 씁니다. (예전엔 반복 패턴에만 모델이 익숙해져서 망한 적도…)
처음엔 실수투성이지만, 계속 고치고 반복하다 보면 점점 나아집니다.
여러분도 데이터셋 준비하다가 막히면, “나만 그런 거 아니구나” 생각하세요!
이제 진짜 실전!
PyTorch, TensorFlow 둘 다 써봤는데, 처음엔 뭐가 뭔지 헷갈리더라고요.
여러분도 “이거 왜 안 돼?” 하면서 삽질할 수 있으니, 실전 예제와 함께 하나씩 짚어볼게요.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ModelForCausalLM, AutoTokenizer
model_name = "microsoft/CodeGPT-small-py"
tokenizer = AutoTokenizer.from_pretrained(model_name)
model = AutoModelForCausalLM.from_pretrained(model_name)
pip install torch transformers datasets
pip install tensorflow transformers datasets
from datasets import load_dataset
dataset = load_dataset("code_search_net", "python")
def tokenize_function(examples):
return tokenizer(examples["code"], truncation=True, padding="max_length")
tokenized_datasets = dataset.map(tokenize_function, batched=True)
from transformers import Trainer, TrainingArguments
training_args = TrainingArguments(
output_dir="./results",
evaluation_strategy="steps",
per_device_train_batch_size=8,
num_train_epochs=3,
save_steps=500,
logging_steps=100,
learning_rate=5e-5,
load_best_model_at_end=True,
)
trainer = Trainer(
model=model,
args=training_args,
train_dataset=tokenized_datasets["train"],
eval_dataset=tokenized_datasets["validation"],
)
trainer.train()
model.save_pretrained("./fine_tuned_model")
tokenizer.save_pretrained("./fine_tuned_model")
model.save_pretrained("./fine_tuned_model", saved_model=True)
휴, 복잡하죠? 천천히 다시 봐도 괜찮아요.
파인튜닝은 시행착오의 연속입니다. 저도 아직 실수 많이 해요!
둘 다 많이 쓰이지만, 실제로 써보면 느낌이 꽤 달라요.
처음엔 “뭐가 더 좋지?” 고민하다가,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선택하는 게 정답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결론:
여러분도 프로젝트 성격, 팀 경험, 인프라에 따라 골라보세요!
(저는 PyTorch로 시작해서, 나중에 TensorFlow로 옮긴 적도 있어요.)
자, 이제 진짜 “실전”입니다.
파인튜닝만 하면 끝일까요? 아쉽게도 그렇지 않아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파인튜닝을 “함께” 써야 진짜 강력한 결과가 나옵니다.
실제로 해보면, 파인튜닝만 한 모델도 프롬프트에 따라 결과가 천차만별이에요.
예를 들어, 의료 코드 생성 모델을 파인튜닝했더라도, 프롬프트에 “환자 정보 보호 규정에 맞게”라고 명확히 써주면 훨씬 더 안전한 코드를 뽑아냅니다.
처음엔 파인튜닝만 믿고 프롬프트를 대충 썼다가, 이상한 코드가 나와서 당황했어요.
결국, “모델+프롬프트”가 함께 가야 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죠.
실제로 어디에 쓰일까요?
저도 사내 ERP 코드 자동화 프로젝트에서 큰 효과를 봤어요.
여러분도 “우리 회사만의” 특화된 코드 생성, 꼭 한 번 시도해보세요!
실전에서 마주치는 문제, 그리고 해결법을 정리해볼게요.
저도 처음엔 “이게 왜 이래?” 싶었던 문제들이, 하나씩 해결법을 찾으면서 점점 나아졌어요.
여러분도 포기하지 마세요!
정리해볼까요?
도메인 특화 코드 생성용 LLM 파인튜닝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머신러닝 기초, 실전 코딩이 모두 어우러진 “진짜 실용적인” 기술입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시작해서, 데이터셋 준비, PyTorch/TensorFlow로 파인튜닝, 그리고 두 가지를 결합하는 전략까지—이제 여러분도 직접 시도해볼 수 있어요.
한 단계 더 나아가려면?
실패해도 괜찮아요. 저도 아직 배우는 중이고, 매번 시행착오 속에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실험과 경험이 AI 코드 생성의 미래를 만듭니다.
함께 배우고, 함께 성장해요!
여기까지 따라오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질문, 실패담, 성공 사례—언제든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우리 모두, 더 똑똑한 AI 코딩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